부업

워드프레스 호스팅 어디다 해야 할까? 무료로 3개월 호스팅하기

오더키 2023. 8. 10. 11:52

워드프레스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 인터넷에서 접근을 가능하게 하려면 호스팅이 필요하다. 호스팅은 웹사이트의 파일,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블로그를 티스토리나 네이버에서 만들어서 사용해도 되지만 서비스의 제약이 따른다. 그래서 직접 웹사이트를 제작하여 그곳을 블로그 둥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웹에 대한 지식이 조금 있어야 한다. 유튜브를 보면 많은 유튜버들이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보다 확장성이 뛰어나고 구글 애드센스와 연동하여 수익화도 가능한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옮겨 보라며 영상을 올리곤 한다. 그렇다면 워드프레스는 뭔지 조금 알겠는데 호스팅을 어떻게 해야 할지 IT와 친하지 않은 사람은 멘붕이 올 수 도 있다. 

우선 한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팅 업체들을 비교해 보자. 

호스팅 업체 비교분석

  카페 24 (Cafe 24) 클라우드웨이즈 (Cloudways) 블루호스트 (Bluehost)
가격 5,500원 (설치비 따로있음) $14 (그나마 싼 것) $5.45 (12개월 계약조건)
RAM/Processor ? 1 GB/ 1 Core ?
트래픽 용량 6.5 GB 1 TB 무제한
저장 공간 4 GB 25 GB 40 GB
서버 위치 서울 서울 해외
서비스/기술 지원 가능 가능 가능
무료 기간 없음 3일 추천가입 통해 30일 무료 가능
도메인 - - 1년 무료

이 세 곳 외에도 여러 가지 국내외 업체를 찾아볼 수 있다. 카페 24는 국내 최대의 웹호스팅 서비스 회사로 유명하지만 트래픽 용량이나 저장 공간이 적다. 트래픽 용량의 경우 방문자가 별로 없는 경우 상관없지만 흔히 서버가 터진다고 하는, 방문자이 갑자기 몰리면 웹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추천인을 통하면 그 추천인이 커미션을 쏠쏠하게 먹는 구조라 그런지 많은 유튜버들이 추천하는 호스팅 업체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 블로그가 성공할지 안 할지 모르는 상황에 3일 동안 무료 이용 후, 매달 거금의 돈을 내며 서버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블루호스트는 1년 동안 계약할 경우 $5.45에 웹호스팅 서비스와 도메인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서버가 한국에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아무래도 서버가 멀리 있다 보면 속도가 느리다. 그리고 한두 달 하다 때려치워도 1년 내내 호스팅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그렇다면 최소한의 금액으로 나와 내 블로그의 가능성을 테스트해 볼만한 곳은 없을까?

있다! 그곳은 바로 AWS다.


Amazon Lightsail - 아마존 라이트세일

Amazon Lightsail는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제공하는 간편한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이다. 비전문가들도 쉽게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을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자세한 Amazon Lightsail의 주요 특징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음번 포스팅에서 하겠다. 오늘은 왜 아마존 라이트세일을 추천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나는 직업 때문에 항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AWS는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이 1등이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AW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만큼 기술력이나 서비스 분야는 무궁무진하고 넓고 깊다. 그런 AWS에서 개인이 이용할만한 요금제와 서비스 규모로 Lightsail을 제공한다. 원래 AWS에서 웹사이트를 만들어서 호스팅을 하려면 EC2라고 불리는 곳에 만들어야 하지만 거긴 비싸고 복잡하고 보통의 사람이라면 알고 싶지 않은 곳일 것이다. 그런데 Lightsail을 이용하면 클릭할 줄 알고 복붙을 할 줄 아는 눈과 손가락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어? 나느 빌게이츠 팬이라 마이크로소프트 Azure에 만들고 싶은데.. 나는 구글처돌이라 GCP에 만들고 싶은데.. 그럴 수 있다. 물론 이 두 클라우드 플랫폼에도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할 수 있다. 나도 맨날 Azure 플랫폼 위에서 일해서 Azure이 AWS보다 편하다. 단지 비쌀 뿐...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은 아마존 Lightsail을 3개월 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3개월이란 어떤 시간인가? 나와 내 블로그가 될 떡잎인지 아닌지 충분히 테스트를 해보고도 남는 시간이다. 3개월 동안 매일 블로그 글을 쓰고 노력했는데도 그럴만한 수익이 나지 않거나 포기하고 싶어 졌다면 Lightsail의 내 웹사이트를 지워버리고 기억에서 잊어버리면 된다. 하지만 최소로 써야 하는 비용은 있다. 

  • 비용 1: 도메인 비용 최소 $13 (1년 치)
  • 비용 2: Route 53이라는 서비스 한 달 이용 요금 $0.50 > 석 달을 쓴다고 하면 $1.5
  • 비용 3: 약간 귀찮음 - 도메인 연결, SSL 설치 직접 해야 함; 시간은 10분 내외 걸림

3개월의 무료 이용 기간이 끝나면 내 돈을 내고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비용은 다음과 같다. 

**3개월 무료버전은 $3.5, $5, $10 세 가지 사이즈로 제한된다. 

서버비용 $5 + Route 53 비용 $0.5 = $5.5 총 5.5달러로 계속해서 AW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신기술과 클라우드 플랫폼에 관심이 많고 앞으로 IT 업계에서 먹고살고 싶으면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 보는 것도 학습 차원에서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다음 포스팅에 대해

오늘은 AWS Lightsail을 소개하려고 다른 웹호스팅 서비스들을 소개하는 척 밑밥을 깔아 보았다. 불확실성에 돈을 쓰는 일은 누구나 피하고 싶을 것이다. 나의 짧은 지식과 도움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저비용으로 시도해 보고 싶은 사람들을 찾게 된다면 나에게도 기쁜 일일 것이다 (직업병). 다음번 부업 포스팅에서는 1. 어떻게 Amazon Lightsail을 시작하고 설치하는지, 2. 어떻게 AWS 내에서 도메인을 구입해서 연결하는지, 3. 어떻게 SSL 설치해서 HTTP에서 HTTPS로 넘어갈 수 있는지에 대해 순차적으로 포스팅을 하겠다.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KDP로 나만의 특별한 E-Book 출시하기  (0) 2023.08.17